
1. 청년 희망 적금
청년희망적금은 1년 만기시 2%, 2년 만기시에는 4%까지 받을 수 있다보니 청년층에게 인기가 많은 적금 상품이죠. 청년희망적금은 2년만기를 하면 은행에서 주는 이율을 포함하면 거의 10%의 이율을 받을 수 있게 되는 상품이에요. 연초에 상품이 출시된 후에 엄청나게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보니 상품을 가입하지 못한 청년들이 7월에 다시 출시되는걸 바라고 있죠.과연 7월에 출시될지 기다려봐야할 것 같아요.
기준
나이는 19-34세로 병역을 이행하신 분들이면 36세까지 가능하십니다.
연봉이 3600만원, 종합소득세기준2600만원이하만 가능합니다.
날짜: 7월 또는 8월
신청방법
은행에 직접 방문해도 되고 아니면 온라인으로 하셔도 됩니다.
2. 청년 도약 계좌
정부의 다른 상품이죠.청년도약계좌인데요. 일정액 만큼 저축하면 정부에서 지원을 해주는 계좌에요. 월 30-70만원을 저축한다면 정부에서 10-40만원을 추가로 지원해주며 10년만기 1억을 받을 수 있는 계좌입니다.
기준
청년희망적금과 같이 19-34세라면 가입가능한 상품이에요. 하지만 이 상품은 청년희망적금과 동시에 가입할 수 없기때문에 주의해주셔야합니다. 단 연소득에 따라 납입금액과 정부지원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니 기준에 따라 확인해주세요
연소득 2400이하는 정부지원40+청년30
연소득 2400~3600이하는 정부지원20
연소득 3600~4800이하는 정부지원10입니다.
연소득 4800이상은 지원금없습니다.
날짜: 2023년 예정
신청방법
미정
3.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개인적인 생각)
청년희망적금은 2년만기 청년도약계좌는 10년만기다보니 제 개인적인 생각은 청년희망적금으로 기울기는 하네요. 아무래도 10년이다보니 너무 부담스러운 면이 없지않아요. 연금느낌으로 그냥 없는 돈이라 생각하고 넣는다면 뭐 청년도약계좌도 좋을 것 같지만 저는 청년희망적금먼저 하고 있기에 알고만 있어야겠어요.
'사회,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지원] K 비대면 바우처, 지원기간까지 전액사용? (5) | 2022.07.07 |
---|---|
[정부 지원]"케이(K) 비대면 바우처 플랫폼"-재택근무, 화상회의등에 필요한 비대면 업무 비용 지원 (2) | 2022.03.27 |
항암 치료에 개선 방안이 개발될 수 있는 신호탄이 될까 (2) | 2022.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