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pm 정의
2. ppm to percent
- 단위환산(%)
- 예시
3. ppm to concentration
- 단위환산(ng/ul)
- 예시
안녕하세요 오늘은 시약을 제조할때 많이 사용되는 ppm과 농도 사이의 계산을 통해 원하는 농도의 시약 제조 계산법을 살펴볼게요.

1. ppm 정의
ppm이란 영문 그대로 parts per milion 즉 1,000,000(백만)분의 1이라는 뜻이에요.
자 그렇다면 두가지 정의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볼까요?
2. ppm to percent(ppm to %)
ppm에서 %로 변환 시에는 ppm 값에서 10,000 값을 나누면 퍼센트 단위로 변환 가능해요.
1 ppm = 0.0001 %
예를 들어 해당 내용을 이해해볼게요.
예시
산소의 농도가 200ppm 인 경우, 여기에 200/1,000,0008*100, 즉 200/10,000 = 0.0200% 가 되는 것으로 계산을 하면 되겠죠?
3. ppm to concentration
농도의 경우에는 ppm은 용액 1kg 당 함유되어있는 용질의 mg 수를 나타낸답니다.
근사한 밀도의 경우, 1mg/kg = 1mg/L로 간주해서 계산하시면 돼요
다른말로 예를 들어 수용액의 경우 밀도가 1mg/L 즉 용액 1L 당 용질의 단위는 mg이에요. 그렇다면 1L = 1kg로 생각하면 된답니다.
이제 ppm과 농도의 관계를 알아볼게요.
ppm에서 흔히 나노드랍으로 측정하는 흡광도의 값 (ng/ul)로 변환 시 동일한 값을 사용하면 된답니다.
계산을 해보면 1ppm = 1mg/L = 1ug/ml = 1ng/ul
즉, 나노드랍을 통해 측정되는 값은 ppm으로 봐주셔도 무방하답니다. (수용액으로 녹였을 경우!)
그렇다면,
실제 ppm 즉 ng/ul의 흡광도 값 농도를 가지는 용액을 원하는 농도로 만들고 싶은 경우, 얼마나 용액이 수용액에 희석되어야 하는지 계산해볼게요.
예시
우리는 A 용액을 가지고 있고 농도는 865ng/ul 로 측정되었어요. 이 값을 50ppm(50ng/ul)으로 만들 때 농도 계산은 어떻게 될까요?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용액에 첨가해야하는 용액 A의 양 =
원하는 농도 / 측정된 용액 A 의 농도 * 1000(ul)
문제에 대입하여 계산 적용 해볼게요.
수용액에 첨가해야 하는 용액 A의 양 = 50ng/ul / 865ng/ul * 1000 이 되겠죠, 값은 57.8 ul 정도가 나온답니다.
그렇다면 용액 A를 57.8ul bottle에 넣고 나머지 1000 - 57.8 = 942.2ul를 첨가하면 1ml의 용액의 농도는 50ng/ul이 된답니다.
도움이 많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실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 정보] 통계 검정 엑셀로 t- test 및 p-value 값 구하기 (0) | 2024.08.15 |
---|---|
[실험 정보] 실험 기초 정복 몰 농도 계산(개념, 공식, 예시) (0) | 2023.03.27 |
[실험 정보] 실험 기초 정복 Serial dilution (0) | 2023.03.26 |
[실험 정보] Real-time PCR 결과 해석 발현량 보정(House keeping gene) (2) | 2023.03.26 |
[실험 정보] Real-time PCR 용어 정리(feat. 실험 안될 때 해결 방법)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