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6

[실험 정보] 배지만들기, 배지의 종류와 미생물 배양

안녕하세요~ 오늘은 과학자라면 뗄래야 뗄 수 없는 배지만들기에 대해 알아볼게요 세균, 곰팡이등 식품의 안전성 검사와 오염여부등을 확인할 수 있고 검체에 대한 세균성 감염여부도 확인 할 수 있어요. 이렇게 많은 부분에서 사용되는 배지에 대해 알고 있으면 실험의 목적에 따라 배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답니다. 꼭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부분이에요. 배지의 종류 배지의 종류는 엄청~ 다양하답니다. 고체배지, 액체배지, 평판배지, 사면배지등이 있어요. 고체배지: 말그대로 고체형태의 배지로 agar를 첨가하여 배지가 굳게 만들어주는 배지입니다. dish에 고체배지를 부으면 굳게 되고 이 배지위에 검체를 도말하여 배양한 다음 균배양 여부를 판단해요. 예를 들어 항생제 감수성 또는 균의 분리배양에 사용됩니다. ..

실험 정보 2022.06.23

[실험 정보] 세포배양 세포수 계산 Cell counting, Hemocytometer Part 2

세포 준비과정에서의 추가 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hemocytometer 사용법과 세포수 계산에 대해 알아볼게요. 혹시 지난 포스팅을 아직 보지 않으신 분들은 먼저 보시고 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앞서 작성한 글에서 조금 더 추가하고 싶은 내용도 있기 때문이에요. 세포수를 측정하기 위해 배양중인 세포를 준비할때 방법에서 세포를 trypsin을 이용하여 떼어준다는 그 부분에서 배지를 제거한 후, DPBS washing을 진행하여 배지를 완전히 제거해요. 배지에는 부착할 수 있게 해주는 Ca+이온과 trypsin 저해제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때 DPBS를 사용하여 배지를 제거해주면 Trypsin/EDTA의 역할을 더울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요. trypsin처리로 부착세포..

실험 정보 2022.06.22

[실험 정보] 세포배양 세포수 계산 Cell counting, Hemocytometer Part 1

세포 수 계산을 하는 이유 세포배양을 하게 되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세포수 계산! cell count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에 필요한 기구는 바로 hemocytometer입니다. 세포 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며 이는 세포를 얼마나 배양할 것인지 알아볼 수 있게 해주죠. 35mm dish, T25 flask등 세포를 배양하는 dish에 적절한 양의 세포를 넣은 후, 배양기에 배양해야 세포가 잘 자랄 수 있어요. 만약 너무 많은 세포를 dish에 넣게 된다면 세포가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죽어버리게 되고, 또 너무 작게 넣으면 배양시간이 오래걸리게 되어 실험이 지체되곤하죠. 그래서 세포의 성장속도에 따라 또는 실험의 시간에 따라 세포를 적절하게 깔아주어야 해요. 이렇게 중요한 세포 배양! 그 첫..

실험 정보 2022.06.21

[실험 정보] 자주 쓰는 수학, 과학, 특수 기호 모음

대소 비교에 자주 등장하는 부등호 모음 : 이상과 이하의 개념으로 예를 들어 1> 인경우에는 1보다 작은 값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 : 위의 개념에 밑줄이 그어진 것 같은 이런 부등호의 경우에는 크거나 같다, 작거나 같다로 해석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 의 경우 3보다 작거나 같다입니다. 이 경우, 숫자들을 사이에 두어 부등호를 읽으실 수 있는데, 마찬가지로 1

실험 정보 2022.05.13

[실험 정보] PH 측정의 원리, 방법,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뚜동이에요! 오늘은 PH 측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실험에서 기본이 되는 것 중 하나입니다. PH미터의 정의, 세부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실험 방법, 주의사항까지 오늘 마스터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자 그럼 순서대로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PH 미터란 PH미터는 유리 전극과 우리의 실험 샘플(비교 전극) 사이에 수소이온의 치환으로 인한 전위차를 이용해서 PH를 측정하는 기구입니다. 수소이온 활량을 나타내는 값이며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산성, 중성, 염기성(PH4,7,10)을 설정해준 후 알고자 하는 샘플의 PH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용액)에 유리 전극을 넣어 PH를 읽으면 됩니다. PH 측정 순서 기계 전원을 켠 후, 유리 전극을 3차 증류수로 한번 세척해..

실험 정보 2022.04.29

[실험 정보] 전기영동에 대한 궁금증은 이걸로 종결시켜! Part 3

안녕하세요 뚜동이에요! 앞의 part1, part2에서는 전기영동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와 필요한 기구 및 시약들에 대해 알아봤어요 오늘은 전기영동의 마지막 시간! 방법의 과정에서 주의해야할 점과 꿀팁 그리고 결과 해석방법과 종종 나타나는 문제들의 경우까지 알아보고 마무리 하려고 합니다. 전기영동이 되게 간단한 실험이지만 그만큼 자주해야하는 실험이니 오늘 이 글을 마지막으로 마스터 하셨으면 좋겠습니당 ㅎㅎ 모든걸 쓴다고 하는데 자꾸 다쓰고 나면 이것도 적을걸 저것도 적을걸 하게 되더라구요 ㅜ 오늘은 그런 후회없게 열심히 써보겠습니다! 전기영동 방법 1. 굳힌 겔이 담긴 tray를 caster과 분리한 후, tank에 넣어줍니다. 2. 1X TAE 또는 1X TBE buffer를 tank에 부어 gel이 모..

실험 정보 2022.04.21

[실험 정보] 전기영동에 대한 궁금증은 이걸로 종결시켜! Part 2

안녕하세요 뚜동이에요!! 전기영동기계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있는가라는 이전 포스팅에 이어! Part 2!! 전기영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구나 시약은 어떤게 있는가에 대해 알아볼게요 전기영동을 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시약들이 몇가지 있어요 바로바로 1. TAE 또는 TBE buffer 2. loading dye 3. DNA Ladder 4. EtBr 5. Agarose gel 입니다 TAE Buffer Tris 염기, Acetate 및 EDTA로 구성된 완충액 Tris는 양이온을 공급하는 역할을 해요 그래서 DNA를 잡아서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거죠 하지만 Tris는 PH가 거의 11에 가까운 염기이기 때문에 DNA의 해리가 일어날 수 있어요 즉, DNA의 denaturation이 일어나..

실험 정보 2022.04.18

[실험 정보] 전기영동에 대한 궁금증은 이걸로 종결시켜! Part 1

안녕하세요 뚜동이에요! 이때까지 PCR에 대한 내용을 알아봤는데 전기영동에 대한 이야기도 해드리려고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어용 전기영동의 정의 부터 알아볼까요? 전기영동이란? 겔이라는 젤리같은 곳의 구멍에 DNA를 넣으면 전류를 통해 양전하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DNA의 크기가 클수록 천천히 내려가게 돼요 그렇게 되면 이렇게 일정기간 내리면 크기에 따라 DNA가 나뉘게 되고 우리가 원하는 크기에 맞게 DNA가 보이는지에 따라 성공의 유무가 결정된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렇게 설명으로는 잘 이해가 안가실 수 있으니 차근차근 하나씩 다시 설명해드릴게요! 전기영동설명의 순서 전기영동의 설명 순서는 이렇게 구성해볼게요. 1. 전기영동기계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있는가? 2. 전기영동을 하기 위해 필..

실험 정보 2022.04.17

[실험 정보] Real-time PCR- Part 2 (Taqman probe 원리, SYBR green과의 차이점, 디자인시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뚜동이에요! 지난시간에 이어서! 오늘은 real-time PCR의 두번째 이야기 Taqman probe에 대해 알아 볼게요 Taqman probe란 프라이머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답니다. 하지만 일반 primer과 다르게 5'과 3'의 양 말단에 reporter과 quencher라는 물질을 달고 있죠 primer의 5' 말단에는 형광 발현을 하는 reporter과 3'에는 소광제라는 quencher가 위치하고 있어요 즉, quencher라는 소광제가 reporter에서 나오는 빛을 흡수하여 다른 에너지로 바꿔버리는 거죠. 그만큼 reporter가 quencher근처에 있다면 우리는 형광을 보지 못하게 됩니당. probe의 구성에 대해 알았다면 이제 실제 PCR에서 어떻게 작용하는 지 한번 ..

실험 정보 2022.04.16

[실험 정보] Real-time PCR- Part 1 (실험의 특징과 SYBR Green원리)

안녕하세요 뚜동이에요~ PCR에 이어 realtime PCR에 대해 알아볼게요! realtime PCR이 뭐냐! 실시간으로 PCR시에 증폭되는 산물의 정량을 형광으로 확인하는 실험방법이랍니다. 우리가 PCR을 했을때 막 두개에서 네개 이렇게 늘어나잖아요 그 양을 확인하고 싶을때! 사용하죠 되게 민감하기에 실험자의 스킬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지만 제기준 PCR후 영동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한번에 증폭되는 걸 확인 할 수 있다는 점에서 realtime PCR에 대해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요 또 다양하게 쓰이는 분야가 많기때문에!! 일단 먼저 realtime PCR은 1. 앞에서 언급했듯 민감해요! 이런 경우에 아주 소량의 DNA라도 증폭시킬 수 있죠 2. 외부의 오염에 노출될 확률이 작아요 이 실험은 아무래도..

실험 정보 2022.04.09